티스토리 뷰

반응형

매일 매초 사람들은 자연스러운 생리현상인 

방귀를 끼게 됩니다. 이러한 방귀는 소리도 

나지만 가끔 고약한 냄세도 동반하는데요,

그래서 사람들은 쉬쉬하거나 대놓고 방귀를

끼지 못합니다. 이러한 방귀는 사람들의 몸속

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고, 제때 배출을 

하지 못한다면 인체내에 가스가 가득 차서 

정상적인 생활에 무리를 주게 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방귀의진실! 아무도 몰랐던 

방귀의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방귀 냄새는 건강과 상관이 없다. 

방귀 냄새는 섭취한 음식물의 종류와 양에

 의해서  결정되는것으로 가스 배출 자체가 

위험하거나 건강의 이상을 말하는 것은 

아닙니다. 단백질이 많은 고기나 계란등을 

섭취했을 경우에는 발효되면서 질소와 

황을 방생하게 되는데 이때 고약한 

방귀를 끼게 됩니다. 


소리가 클수록 직장과 

항문은 건강하다.

가스의 양이 많거나 밀어내는 힘이클때  

 배출되는 통로가 좁을수로 소리가 크게 

납니다. 특정 항문질환이 없으면서 

방귀 소리가 유난히 크다면 직장과 

항문이매우 건강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방귀끼는것은 건강한 

소화기관을 가진것이다.

인체에 필요한 에너지를 생산하는 공장인 

미토콘드리아가 활발하다는 증거가

 방귀를 뀜으로써 건강한 소화 

기관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한사람이 하루에 뀌는 방귀는 

풍선 하나를 가득 채울수 있다. 

장 내에는 하루50에서 4000 CC의 가스가

생성됩니다. 그리고 방귀로 배출되는 양은 

극소 일부분이지만 이 일부분의 양으로도

풍 선 하나를 가득 채울수 있다고 합니다. 


사람은 평균 하루에 약 14회

 정도의 방귀를 뀐다. 

정상적인 사람의 방귀 횟수는 평균 

14~25회 정도라고 합니다. 그러나 

잦은 방귀를 뀌고, 오랜 기간 지속 

돼었고, 그 기간 동안에 건강에 큰 

무리가 없었을 때에는 걱정을 할 

필요는 없다. 


여성의 방귀가 남성보다 냄새가 

더 많이 난다. 

여성의 방귀는 남성의 방귀보다 더

높은 황화수소가 나오는데 , 황화수소는 

수소의 황화물로 악취를 가진 무색의 

유독한 기체입니다. 


탄산음료& 껌 은 더 많은 

방귀를 뀌게 합니다. 

껌을 씹을 때 침과 함께 공기가 몸속으로 

많이 들어가면서 방귀를 더 많이 뀌게 합니다.

그리고 탄산 음료는 장내 가스의 축적을 

일으키게 되어 방귀를 자주 뀌게 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여성이든 남성이든 상관없이 방귀를 

뀌게 되는데, 평소 생활 식습관으로 인해 

만들어지는 방귀는 남녀 상관이 없이

뀌게 된다, 그리고 방귀는 초당 3미터를

 갈수 있다고 합니다. 

반응형
댓글
반응형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